
요즘 수화를 배우면서 이 영화를 다시 보게 되었다. 10년 전의 영화였다. 그때는 어쩌면 다 이해하지 못했던 영화였던 거 같다. 다시 보니 장애인들의 상황이 더 절실히 느껴졌다. 그리고 듣지 못하는 사람들은 들을 수 있는 사람 보다 더 보호하고 이해해야 한다는 걸 느꼈다. 다시 봐도 너무나 답답해지는 영화였다. 우리는 주위에 있는 장애인을 어떤 마음으로 대할까? 우리보다 불편한 점이 있는 사람이니 무시하거나 얕잡아 보진 않을까? 아마 못 들을 거야, 아마 못 볼 거야, 아마 이해하지 못할 거야… 하면서. 장애인들은 조금은 이기적인 성향이 있다고 한다. 이유는 장애 때문에 갖고 있는 자기 보호 작용이라고 한다. 세상에 소리가 들리지 않는 사람은 세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더 많이 이기적일 수밖에 없..

농인 아내, 청인 남편이 살아가는 이야기.. 흥미롭다. 눈에 보이고 눈으로 보여줘야 어느 정도 통하는 농인의 세계. -농인은 보이는 세계를 통해 무언가를 알 수 있다. 듣지 못하기 때문에 소리로 전달받을 수 없고 시각적으로 보여줘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깜깜한 밤에는 아무런 대화를 할 수 없다. 듣는 사람과 다른 포인트에서 그들은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농인은 가르쳐주기 전에는 세탁기 소리가 커서 밤에는 이웃집에 폐가 될 정도라는 것을 알 수가 없으니까. -농인들은 외부의 소리를 들을 수도 없지만, 자신의 소리도 들을 수 없다. 소리로 세상을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소리가 주는 피해도 인식하지 못한다. 농인들이 수어를 하면서 이상한 소리를 내는 것도 그들이 자신의 소리를 듣지 못하기 때..

제과제빵을 배우면서 알게 된 영희언니는 제주에서 도자기 공방을 한다. 일찌감치 제주에 와서 자리를 잡고 공방과 펜션 사업을 하는 언니이다. 펜션과 공방이 있는 건물 앞에는 귤나무가 있는 귤밭도 있다. 제대로 제주에 와서 정착을 한 케이스이다. 귤농사가 본업이 아니라 해마다 귤농사는 자연의 손에 맡겨두는 집이다. 올해는 귤도 많이 달리지 않고 펜션을 시작해서 일손도 모자라고 해서 귤농사가 그리 좋지는 않았다고 한다. 그래도 한차례 수확을 하고 주문받은 귤을 보내고 나서 남은 귤 중 먹을 걸 남겨뒀다고 가질러 오라고 연락이 왔다. 나도 육지에 있는 식구들에게는 언니네 귤을 택배로 보내고 제주에 살면서 귤은 사먹는 거 아니라기에 언니에 귤 파찌가 나오길 기다리고 있었다. 작년 말에 남편이 당근마켓에서 그동안 ..

시골 간이역이 생겨나게 된 기적과 같은 일이 나오는 영화이다. 준경(박정민역)은 어려서부터 과학과 수학에 남다른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 아빠는 기차의 기관장이라 언제나 바쁘시다. 엄마는 준경을 낳다가 돌아가시고. 누나 도경과는 각별한 남매의 정이 있다. 준경의 집은 기차역에서 너무 멀다. 마을에서 바깥세상으로 갈 수 있는 도로가 없다. 오직 철길을 따라서 걸어야 하고 그나마 철길도 중간에 터널을 세개나 지나야 한다. 강을 건너는 다리도 철교이다. 그러니 마을사람들이 바깥으로 나가려면 기차가 다니는 철길을 이용하는 수밖에 없다. 그러다 보니 기차 사고가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 준경은 그래서 대통령에게 마을에 서는 기차역을 만들어달라는 탄원서를 수도 없이 보내고 있다. 고등학교에 입학한 준경은 같은 반 친구..

유튜브 수화 강사님의 소개로 보게 된 책이다. 주인공 할아버지(폴루)는 아내와 살던 집을 아내가 죽은 후 팔려고 내놨다. 하지만 고속도로 옆에 있는 집이어서 모든 것이 완벽하게 좋은 집인데도 불구하고 아무도 사려고 나서지 않았다. ‘너무 시끄러워서 귀머거리나 살 수 있는 집이네요.’라는 사람의 말을 듣고 정말로 청각 장애인에게 집을 팔아야겠다고 생각해 알아보게 되었고, 적당한 사람이 나타난 것이다. 그래서 만나게 된 청각장애인과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번역가, 아, 참, 저 사람들은 통역사라고 하더군. 통역사는 그 춤을, 격렬함과 힘이 넘쳐 나다가 순식간에 부드러워지는 동작들의 의미를 통역해 주고, 우리 ‘듣는 사람들’이라면 찡그린, 화난, 혹은 우스꽝스러운 얼굴이라고 말했을 그 시시각각 변하는 얼굴이 무..

수화가 나오는 영화를 보고 싶었다. 영화 내용도 감명깊었지만, 수화를 반쯤 알아들어서 더 좋았다. 유명한 투수인 주인공은 술을 마시고 싸움을 했다는 이유로 징계를 당한다. 자숙하는 모습을 보이려고 일부러 충주 성심학교 코치로 가게 된다. 충주 성심학교는 장애인 학교이다. 청각 장애인인 아이들이 모여서 야구부를 결성했다. 소리를 듣지 못하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야구가 매우 어렵다. 소리를 듣지 못하는 그들은 어려서부터 자신을 지키는 것도 버거운 아이들이었다. 그러니 협동하여 야구를 한다는 것도 그들에게는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그런 아이들을 데리고 봉황기 고교 야구 대회에서 1승을 거두고 싶어한다. 주인공은 아이들과 지내면서 점점 소싯적 생각이 나면서 다시 야구에 진심이었던 초심을 찾게 된다. 물론 아직도..

만화책같은데, 어떤 내용일지 매우 궁금해지는 책이다. 반려견 키키가 일상에서 산책하며 동거인 진아를 관찰하는 일기를 만화로 표현하는 책이다. 일상에서 별생각 없이 쓰는 단어들을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어 소개하고 있다. 보통은 그냥 지나쳤을 단어에 대해 작가가 마치 뜻을 새로 부여하듯이 생각의 날개를 맘껏 펼치는 그런 글들이다. 내가 어릴 때도 그런 식의 일기를 많이 썼었다. 그날 유독 머리에서 떠나지 않는 단어를 생각하고 또 생각해 나만의 의미를 부여하고 그걸 일기에 장황하게 써보는.. 나의 어릴 적 그 일기도 어쩌면 이런 책이 될 수 있었을까? 이 책의 특이한 점은 그런 이야기를 만화와 곁들여 했다는 데 있다. 이 만화는 저에게 시작입니다. 이야기를 만화로 그릴 수 있다는 시작이자 키키와 마주..

김윤석과 조인성이 나오는 영화이다. 우리나라가 아직 UN에 가입되지 않았을 때, 유엔의 투표권이 많은 아프리카에 우리 정부는 호감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 그래서 위험하기 그지 없는 아프리카에 대사관 직원을 파견했다. 겨우 두어명의 직원과 그 가족들이 제대로 보호나 인정을 받지 못하는 아프리카에서 위험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배경은 소말리아의 수도인 모가디슈이다. 군부독재 정권하에 있던 소말리아 반군은 수도를 무력으로 점령한다. 그 속에서 우리 대사관과 북한 대사관 사람들은 죽음의 공포에 휩싸이게 된다. 정부의 지원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소말리아 정부의 보호도 받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내전이 시작되고 다른 나라의 대사관을 통해 각자의 본국으로 귀환하는 처절한 상황을 그리고 있는 영화이다. 커다란 사..

제주에 살면 생선을 쉽게 접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물론 그렇다. 방파제에 나가서 낚시로 잡아 먹기도 하고, 항구에서 그날 들어온 생선을 싸게 사기도 하고, 시장에도 언제나 생선이 차고 넘친다. 하지만 육지서 온 내게 그런 것이 일상처럼 스며들지는 않는다. 특히 낚시는 아직… 그래도 아름아름 싸고 좋은 생선을 먹을 수 있는 기회는 참 많다. 꽤 크기가 되는 옥돔이다. 하나를 구우면 남편이랑 둘이 한끼 잘 먹는다. 이걸 한마리에 3,000원에 샀다. 옥돔도 시기마다 맛도 다르다고 한다. 급식실 동기의 지인이 옥돔 도매를 한다고 해서 맛좋은 때, 그것도 싸게 살 수 있다. 급식실에 언니가 집에서 간하고 말린 것이라며 전갱이를 몇마리 슬쩍 주고 간 적도 있다. 육지살 때는 먹어보지 않았던 전갱이이다. 전갱..

우리집에 오는 길고양이를 그려보았다. 우리가 제주에 이사온 후, 언제나 우리집에는 길고양이가 왔었다. 주로 흰털과 검은털이 섞인 아이들이 왔었는데… 최근에 이렇게 호랑이처럼 생긴 아이가 오기 시작했다. 이녀석의 덩치가 얼마나 큰지, 이녀석이 오고부터는 그전에 우리집에 오던 길고양이들은 자취를 감추었다. 아마도 세력 싸움에서 진 듯하다. 그동안 오던 녀석들은 겁도 많고 몸집도 작은 아이들이었다. 내가 먹을 것을 주려고 나가면 줄행랑을 쳐버리는 녀석들이다. 작년까지만 해도 이렇게 작은 몸집이었어서, 근처에 오지 않던 녀석이었다. 겨우 담장까지 왔다가 그냥 가곤 하던 녀석이었다. 그러더니 이렇게 마당으로 진출한지 몇달 되지 않았다. 이때까지만 해도 검은털이 있는 녀석들이 주로 우리 마당을 차지했었다. 최근에 ..
- Total
- Today
- Yesterday
- 길고양이
- 제주도맛집
- 스테픈
- 솔라나
- 제주여행
- 한식조리기능사실기
- 산티아고여행
- 제주도
- 책리뷰
- 인도영화
- 제주맛집
- 마라톤
- 북리뷰
- 산티아고순례길
- 내가슴을뛰게할런
- 제주향토음식
- 부엔까미노
- 중국어번역
- 달리기
- 중국동화
- 자전거여행
- 산티아고
- 플룻초보
- 브롬톤자전거
- 중국어공부
- 한식조리기능사
- 부엔카미노
- 코바늘뜨기
- 브롬톤
- 플룻배우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