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는 삶은 고기로 '미수전'이라는 에피타이저를 만들 것이다. 미수전은 돼지고기를 다져서 계란으로 옷을 입힌 제주도 전통 전이라고 한다. 미수전 재료 : 삶은 고기 50g, 두부 20g, 마늘 약간, 다진파 1작은술, 깨소금 약간, 후추 약간, 참기름 약간, 달걀 3개, 식용유, 소금 약간, 간장 약간 일. 돼지고기는 잘 다진다. 돔베고기를 만들기 위해서 삶은 고기 중 가능하면 살코기로 조금만 가져다가 잘게 다져준다. 이. 달걀에 소금을 약간 넣어 풀어 놓는다. 삼. 두부는 수분을 제거하여 으깨어 고기와 합하여 양념한다. 먼저 두부를 도마에 놓고 칼의 넓은 면으로 으깨준다. 키친타올을 이용해 물기를 빼준다. 다진 고기와 두부에 양념을 해준다. 사. 고기소를 길이 3cm 정도 두께는 0.7cm로 길게 빚..

삶은 돼지고기를 일부는 돔베고기로 썰어 먹고, 일부는 고기국수를 만들고, 일부는 에피타이저를 만들기로 했다. 오늘은 제주도에서 가장 유명한 '고기국수'를 만들어 볼 생각이다. 고기국수 재료 : 돼지고기 100g, 물 500cc, 국수(중면) 120g, 콩나물 100g, 대파 1/3줄기, 양파 1/3개, 얼갈이 배추 1개, 달걀 1개, 마늘 1큰술 콩나물 양념 : 마늘 1큰술, 소금, 깨소금, 고춧가루, 청장, 참기름 일. 돔베고기를 만들기 위해 삶은 고기를 사용한다. 이. 대파는 어슷 썰고, 양파는 채썰고 얼갈이는 찢어서 놓는다. 이렇게 썰어서 준비해둔다. 삼. 콩나물은 살고 찬물 샤워를 한 후 청장, 마늘, 소금, 깨소금, 참기름으로 무쳐 준비한다. 여기서 콩나물을 비린내 나지 않게 삶는 팁! 아주 간..

삶은 고기와 환상 궁합인 겉절이 삶은 고기를 먹을 때는 겉절이가 필수이다. 그래서 수업 내용에는 없었지만, 수강생들의 요청으로 선생님께서 본인의 레시피를 방출해주셨다. 겉절이는 정말로 금방 무쳐서 먹는 것이므로 양념도 그다지 요란할 필요가 없다. 우선 노란 배추를 머리만 잘라서 깨끗이 씻고 소금에 살짝 절인다. 겉절이 양념 : 고춧가루 1/3컵, 액젓 1/2컵(여기서 강사님의 팁!! 새우젓과 멸치액젓을 2 : 1로 섞으면 가장 맛이 좋다고 하심), 설탕 1큰술, 다진마늘 2큰술, 생강즙 1작은술, 식초 1큰술, 미나리나 실파 송송(없으면 안 넣어도 된다.), 깨소금 약간 사실 이런 노란 배추는 그냥 삶은 고기에 된장만 있어도 맛있게 먹을 수 있다. 하지만 이날 우리가 겉절이를 만들자고 선생님을 조른 이유..

'돔베고기'라는 이름은 참 부르기도 재미있고, 특이해서 좋다. 제주도 돔베고기는 이제 너무 유명해져서 왠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고기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에 여행와서 누구나 한번쯤은 먹어보는 고기이기도 하다. '돔베'는 제주도 방언으로 도마를 뜻하는 말이다. 하지만 이 도마가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도마의 모양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주방에서 쓰는 도마는 네모난 판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돔베는 정확히 말하면 나무로 만든 작은 상처럼 생겼다고 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 양용진 선생님 페이스북) 이렇게 생긴 것이 제주도 돔베이다. 하지만 이 이미지는 네이버를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다. 제주음식을 가르쳐주신 선생님의 페이스북에 보면 서울에 제주의 주방기구를 전시했던 적이 있다면 올려놓으..

이번에 이야기를 풀어볼 제주음식스토리텔링은 영.. 자신이 없다. 육지와 다른 제주만의 특징이 있는 음식문화로 그 용어도 너무 어색하여 수업시간에 강사님이 설명하시는 것을 거의 알아들을 수가 없었다. 하지만 너무나 제주도 특유의 음식문화를 가지고 있는 이야기이므로 내가 잘 설명을 못하더라도 여기에 어느 정도 수업에서 얻은 정보는 정리를 해두어야 할 것 같다. 너무 낯선 문화라 한번 듣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 너무 적어서, 아마도 이렇게 잘 모르지만 정리해 두지 않으면 몇 개월 지나면 완전히 잊어버릴 것 같은 제주문화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한번 정리를 해두면 현재 1을 알지만 나중에 1을 더 알게 되면 합해서 2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생판 모르던 지방의 전통 문화를 한번에 다 이해할 수 없는 이..

개떡과 관련한 말 중에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 듣는다."라는 것이 있다. 아마도 대충 아무렇게나 말해도 착착 눈치껏 잘 알아듣는 경우에 하는 말일 것이다. 그렇다면 개떡은 대충 만드는 떡일 것임에 분명하다.ㅋ 이번에 우리가 만드는 떡이 바로 개떡이다. 그것도 쑥을 넣어 만든 개떡이므로 쑥개떡이라고 한다. 제주도 방언으로는 '쑥갠떡'이라고 한다는데, 대충 들어도 쑥개떡을 뜻하는지는 알 것 같다. 어쨌든 이름으로만 들어서는 만드는 것이 그닥 어려울 것이 없는 듯하다. 쑥갠떡 이렇게 쑥으로 만드는 떡은 봄에 쑥이 지천으로 날 때 바구니 하나 옆에 끼고 산으로 들로 다니며 쑥을 캐다가 그 쑥을 살살 잘 씻어서 한번 데친 후에 방앗간에서 쌀가루를 빻을 때 같이 넣고 빻아달라고 하면 훨씬 쑥향이 많이 나고..

지난 번에는 자색 고구마를 이용해 고급스러워 보이는 고구마 케이크를 만들어 보았었다. 이번에는 유자를 이용해서 노란 개나리같은 유자 떡케이크를 만들었다. 아무래도 고구마 케이크는 어르신의 생일 케이크 상에 올리면 좋을 것 같은 비주얼이었다면, 이번에 만드는 유자 떡케이크는 아이들의 생일상에 올리면 병아리 같은 아이들과 잘 어울리는 생일 케이크가 될 것 같다. 생일 케이크하면 그냥 제과점에 가서 캐릭터 케이크를 사다 먹어도 아이들이 좋아하고 차려주는 사람도 편하겠지만, 음식이라는 것이 차려주는 사람의 정성도 중요하지만 전에도 말했듯이 떡 만드는 것이 생각보다 아주 쉬워서, 아이들에게 인상적인 추억을 만들어 주는데 아주 좋은 아이템이라고 생각한다. 시장 그릇 가게에 가서 찜기만 하나 사면 쉽게 집에서도 떡을..

느르미전 이 전은 스토리가 아주 재미있는 전이다. 느르미전이라는 것은 재료를 '늘어놓는다'나 '누른다'에서 그 음을 가져와 느르미전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마치 파전을 부치듯이 쪽파와 고사리를 늘어놓고 달걀로 부치는 전이다. 그리고 다른 이름으로는 보따리전이라고도 하는데, 제삿상에 고사리로 크게 부쳐놓은 이 전에 제삿상에 올라간 음식을 조상들이 보따리처럼 싸가라고 올리는 전이라고 한다. 또다른 이름으로는 들어가는 재료를 따서 고사리파전이라고도 부른다고 한다. 제주도는 어느 집이나 제삿상에 크고 넓적한 이 느르미전을 꼭 올린다고 한다. 재료 : 쪽파 150g, 고사리 50 g, 달걀 3개, 소금, 식용유 일. 파는 깨끗이 씻어 12cm 길이로 썰어둔다. 이. 고사리는 가지런히 추려 12cm 길이로 썰어 소금..

패마농적 제주도 사람들은 제삿상에 적을 많이 만들어 올린다. 육지에서 산적이나 고기적 정도 본 것과 달리 제주도의 적은 그 종류도 다양하다. 우선 나는 한번도 실제로 본 적은 없지만 열거해 보자면, 상어적, 묵적, 두부적, 방어적, 오징어적, 문어적, 소라적 등 다양한 재료 특히 바다에서 나는 재료들로 살짝 삶아서 꼬치에 꽂아 다시 기름에 지지는 형식으로 적을 만들어 제삿상에 올린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재료들은 슬쩍 봐도 좀 비싼 재료들이다. 그래서 이렇게 다양하게 적을 올리지 못할 때 쪽파로 적을 만들어 올리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패마농'은 '쪽파'를 이르는 제주도 방언이다. 쪽파를 보면 머리가 여러 개 패거리로 뭉쳐 있어서 마늘이 패거리를 이뤘다는 뜻으로 패마농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재료 : 쪽..

무말랭이지짐 나물 반찬은 그냥 데쳐서 양념장만 넣으면 되는데도 불구하고, 이상하게 감칠맛을 내기가 너무 어렵다. 매번 할 때마다 맛이 다르게 나는 건 물론이고, 이상하게 적당한 간을 맞추는 것도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그래도 기름넣고 지지고 부치면 조금 맛이 나아진다. 배추로 겉절이는 크게 맛을 못내는 사람도 집에 있는 김치로 김치전은 보통 이상의 맛을 낼 수 있는 이치와 동일하다.^^ 제주도는 뭐든 뿌리로 된 채소는 다 맛이 좋다. 제주도에 와서 갈치조림이나 고등어조림을 먹어보면 보통 내가 집에서 한 것보다 단맛이 많이 난다. 나도 그런 제주도 생선조림을 먹을 때마다 '관광지라고 손님들 입맛 끌려고 설탕을 때려 넣었구만...ㅜㅜ'하고 불평을 했었다. 하지만 제주로 이사오고 나서 시장에서 무를 사다가..
- Total
- Today
- Yesterday
- 플룻초보
- 산티아고
- 부엔카미노
- 브롬톤자전거
- 마라톤
- 내가슴을뛰게할런
- 한식조리기능사
- 브롬톤
- 스테픈
- 솔라나
- 한식조리기능사실기
- 제주향토음식
- 책리뷰
- 중국동화
- 제주도맛집
- 길고양이
- 제주맛집
- 제주도
- 달리기
- 산티아고여행
- 북리뷰
- 부엔까미노
- 산티아고순례길
- 코바늘뜨기
- 중국어공부
- 중국어번역
- 자전거여행
- 인도영화
- 제주여행
- 플룻배우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