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ppDat/btqHBSF30DB/bPVSoSz35kcZMNrODNtABk/img.jpg)
플룻을 불때, 플렛이 하나 들어간 곡은 아주 연주하기 쉽다. 왼쪽 엄지 손가락만 하나 움직이면 되기 때문이다. 처음 이걸 배울 때는 엄지 손가락을 바로 옆으로 지나가는 그것도 그렇게 힘들더니 이제는 그게 제일 쉽다. 이 곡을 플렛이 아니라 샾이 들어간 악보이다. 샾이 하나 들어가 있으면 파를 파#으로 운지해야 한다. 그래서 좀 헷갈리고 왼손 약지를 써야 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좀 어눌하다. 이 곡은 그것을 연습하게 하는 곡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6joliBV64eg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tz2so/btqG4aIRhun/SsuLRmH0kPg1AUj3oSgP70/img.jpg)
이 노래는 너무 유명하다. 내 기억에는 학교 다닐 때, 피리 실기를 이 곡으로 했던 기억이 있다. 사실 요즘 내가 부는 플룻 소리도 피리 소리에서 크게 발전한 것 같지는 않지만... 그래도 플룻으로 이 곡을 부니 옛날 생각이 좀 난다. 그동안 짧은 곡들만 연주를 했었는데, 이 곡은 그래도 꽤 길어서 뒤로 갈수록 숨이 좀 딸린다. 우리 플룻 선생님이 말씀하시길. 플룻을 정말 잘 연주하는 사람은 연주자의 호흡 상태가 듣는 사람에게 들키지 말아야 한다... 고 하셨는데, 나는 힘들면 이렇게 숨이 껄떡거리는 것이 확 티가 난다.ㅋ 그래서 폐활량이 좋아야 하나? 복식 호흡도 자연스럽게 할 줄 알아야 한다는데... 플룻을 배우고 난 알았다. 내가 전혀 복식 호흡을 할 줄 모른다는 것을.. 그래서 한참 플룻을 불다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Nsh1v/btqG6e46iYB/g4waGzPlm8Ab1NjFkCkpBk/img.jpg)
이 곡은 겨우 한 줄밖에 되지 않는 곡인데, 정말 어렵게 연습한 곡이다. 우선 지난 번에 연습한 슬러(이름줄)이 여러 음에 걸쳐서 되어 있어서 어렵고. 다음으로 어려운 것은 음이 갑자기 높아지는 부분이 있어서 어렵다. 이번에 녹음할 때도 높은 음으로 올라갈 때, 흔히 말하는 삑사리가 났다. 그런데 이게 어쩌다 한번 나는 것이 아니라 음이 여러 단계를 오르락 내리락하면 플룻 초보들은 흔히 생기는 삑사리이다. 이런 현상이 어떤 경우에도 나지 않아야 좋은 플룻 연주자가 되는 것이라는데... 선생님의 가르침에 의하면 아무리 음이 올라가든 내려가든 입술의 모양을 고정하고 바람을 일정한 방향으로 플룻 안에 불어넣고, 목을 열고, 입술을 오므리고, 플룻은 턱에 밀착하고, 고개는 들고.... 정말 지켜야 할 것이 많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No2JC/btqGH2ccNSI/icLA7nmBitED3fFRVS4PT1/img.jpg)
멜로디는 매우 익숙한데, 노래 가사는 기억이 나지 않는 곡이다. 아마도 우리 세대에는 배우지 않은 동요이지 싶다. 플룻을 배우면서 알게 된 것은 우리는 어릴 때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외국 곡을 많이 접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순수 동요는 그다지 많지 않은 것일까? 어쨌든 간단히 흥얼거렸던 어릴 때 배운 동요들이 출처가 외국인 경우가 많다는 것을 플룻을 배우고야 알게 되었다.ㅋ 이 '꼬마벌'이라는 곡은 높은 음으로 시작하는 것 때문에 연습할 때 고생을 좀 했다. 특히 높은 음이 억지로 끌어올리는 느낌이 나지 않게 불어야 잘 부는 것인데, 아직 나는 높은 음을 불때 안간힘을 쓰는 것이 느껴진다. https://youtu.be/csU5O_9k5CM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GNwkV/btqGGHs42nW/mMZ3QFBLFb2KEjMEkUz8U0/img.jpg)
이번에 연주한 독일 왈츠는 익숙한 곡이다. 악보는 겨우 두줄밖에 되지 않지만, 우리에게 익숙한 곡을 연주할 때는 특히 재미가 있다. 이렇게 한줄 두줄의 연주곡을 연습하다 보면 나중에는 긴 연주곡도 연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곡은 슬러라고 하는 이음줄을 연습하면서 배운 것이다. 아직은 음의 길이가 길어지는 이음줄이지만, 이렇게 이음줄을 배우면 다른 음들을 자연스럽게 연주할 수 있게 된다. 짧지만 아름다운 곡이다.^^ https://youtu.be/wTT09XAX-OA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kZUoq/btqDO12ab7C/fRHnCjpLRlrRSNUJH51tAK/img.jpg)
플룻 수업에 있어서 마치 겨울방학을 지낸 듯하다. 코로나19가 발생하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느라 플룻 수업을 거의 한달 정도 가질 않았다. 개인 레슨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집단으로 모여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플룻이라는 것이 입으로 부는 것이라서 비말이 많이 그리고 멀리 배출될 거란 생각이 들었다. 만약 내가 피아노나 기타를 배우는 것이었다면 마스크를 쓰고 레슨을 받으면 상관이 없을 일이었지만, 플룻은 절대로 마스크를 쓰고 레슨을 받을 수 없으니 어쩔 수 없이 레슨을 중단했었다. 게다가 플룻 연습실은 악기의 소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다소 밀폐된 장소라고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더욱 경계해야 했다. 아무튼 한달간의 방학같은 시기를 지내고 다시 플룻 수업을 시작했다. 이제 3옥타브 운지도 거의 다 배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gZmuU/btqCtXMrtrZ/gKZqIV8AZgfhQRJQzkCgo1/img.jpg)
육지에 살때, 플룻을 배우고 싶어서 낙원상가에 가서 아무런 사전 지식 없이 악기상 아저씨의 조언만 믿고 산 내 플룻. 플룻이란 악기를 잘 만드는 나라가 어디인지, 잘 만드는 회사가 어디인지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었기 때문에 아저씨의 조언에만 따를 수밖에 없었다. 우선 내가 원하던 것은 취미로 플룻을 배우고 싶은데, 연습용으로 가장 적당한 플룻을 구하는 것이었다. 그때 아저씨가 내게 권한 것이 바로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플룻인 'RIVERA'이다. 아저씨가 소리도 들려주셨는데, 나야 한번도 실제 플룻 소리를 들어본 적이 없으니 그저 괜찮은 소리가 나는 것으로 만족했다. 플룻에 대해서 아는 것이 없으므로 그때 아저씨가 힘주어 이야기하시던 것이 어렴풋이 생각이 날 뿐이다. 이게 대만에서 만들었지만, 독일의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h19kb/btqCinTSce7/MTlUKq3zSGoKNFy9yvhM31/img.jpg)
플룻을 배우기 시작한지 8개월 정도 되었다. 그 동안 소리내기, 1옥타브, 2옥타브 운지, 짧은 노래 등을 배웠다. 소리내기는 점점 좋아져서 이제 입에 대고 신경써서 소리를 내면 처음부터 좋은 소리가 난다. 플룻 소리는 아주 낮은 음과 아주 높은 음을 내기가 힘들다. 한동안 나도 아주 낮은 음과 아주 높은 음을 잘 못내서 엄청 힘들어 했다. 낮은 음을 낼 때는 이상하게 목소리도 같이 난다. 바람소리만 내야 하는데 코를 통해서 내 목소리도 함께 나오는 것이다. 물 속에서 수영을 할 때 혀뿌리로 코로 통하는 통로를 막고 수영을 한다. 그런 상태로 소리를 내야 하는데, 수영을 10년 넘게 배운 나인데, 그게 잘 안되는 것이다. 그래서 수영도 잘 못했나? 아무튼 의외의 복병으로 한동안 낮은 음을 내면서 목소리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SxZB3/btqB1oqGk55/ovMsdZn1epthd7YiD9wNo1/img.jpg)
오랜만에 플룻에 대한 글을 올린다. 그동안 플룻은 매주 레슨을 받았다. 1옥타브와 2옥타브를 배운 후, 몇개의 반음도 배웠다. 이제 반음 2개만 더 배우면 다음엔 3옥타브를 배우게 될 것이다. 어떻게 보면 진도를 거의 나가지 않은 것처럼 느껴진다. 전에도 2옥타브까지 배운 내용의 글을 올렸으니까.... 하지만 그 동안 꽤나 많은 노래를 불 수 있게 되었다. 그동안 연습한 것은 여전히 좋은 소리를 내는 것이었다. 오늘도 8분음표 부는 걸 배우면서 짧고 좋은 소리를 내는 법을 배웠다. 이제는 동요는 어떤 악보를 봐도 다 불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이 되었다. 플룻을 입에 대자마자 첫음부터 정확한 음을 내는 것도 꽤 잘한다. 내가 엄청나게 열심히 집에서 연습하는 것을 선생님도 인정해주셨다. 그러면서 내년 봄에는 ..
- Total
- Today
- Yesterday
- 한식조리기능사
- 인도영화
- 산티아고여행
- 부엔까미노
- 스테픈
- 달리기
- 중국동화
- 중국어공부
- 마라톤
- 플룻초보
- 중국어번역
- 부엔카미노
- 한식조리기능사실기
- 브롬톤
- 자전거여행
- 산티아고
- 제주여행
- 책리뷰
- 제주도
- 북리뷰
- 브롬톤자전거
- 내가슴을뛰게할런
- 솔라나
- 길고양이
- 코바늘뜨기
- 제주맛집
- 제주향토음식
- 플룻배우기
- 제주도맛집
- 산티아고순례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