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사과꽃향기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사과꽃향기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460)
    • 제주라이프 (436)
      • 집밥 (77)
      • 플룻 배우기 (31)
      • 수어배우기 (3)
      • 달리기 - 돌아라 지구 12바퀴 (16)
      • 길고양이 미노 이야기 (22)
      • 한식조리기능사 (30)
    • 제주산책 (270)
      • 제주도카페여행 (40)
      • 제주도음식여행 (126)
      • 제주음식스토리텔링 (81)
    • 제과 제빵 (86)
    • 나름 손뜨개 고수의 손뜨개 강좌 (71)
    • 책읽기 (169)
      • 중국어번역 (47)
    • 영화보기 (249)
    • 우리는 여행자이다 (85)
      • 유럽 여행기(2013년-2014년 - 프랑스, 영.. (7)
      • 자전거로 국토 종주(2017년) (20)
      • 산티아고 여행기 (49)
      • 제주도 여행 (8)
    • 귀농이야기 (3)
    • 그림그리기 (25)
    • (일러스트) 생초보가 알려주는 일러스트 (7)
    • (SAI) 생초보가 알려주는 SAI로 웹툰 그리기 (1)
    • (포토샵) 생초보가 알려주는 포토샵 (1)
    • 캘리그라피 (4)
    • 일러스트로 배우는 요리생활정보 (5)
  • 방명록

제주라이프/플룻 배우기 (31)
보슬비

노래 제목만 보면 언제 어디서 들어왔을 것 같은 제목이다. 그런데 플룻으로 여러 번 불어도 도대체 무슨 노래인지 모르겠다. 동요에 대한 지식이 그만큼 부족한 것이다. 어쨌든 이 곡의 의미는 전혀 모르는 노래이지만, 음정, 박자 잘 맞추어서 분다는 것이다.ㅋ 동요는 그래서 쉬운 것 같다. 긴 노래도 거뜬히 잘 부는 때가 빨리 왔으면 좋겠다. www.youtube.com/watch?v=U-j0Oarg9_I

제주라이프/플룻 배우기 2020. 9. 13. 12:00
플룻 연주 - 거룩 거룩 거룩

플룻을 불때, 플렛이 하나 들어간 곡은 아주 연주하기 쉽다. 왼쪽 엄지 손가락만 하나 움직이면 되기 때문이다. 처음 이걸 배울 때는 엄지 손가락을 바로 옆으로 지나가는 그것도 그렇게 힘들더니 이제는 그게 제일 쉽다. 이 곡을 플렛이 아니라 샾이 들어간 악보이다. 샾이 하나 들어가 있으면 파를 파#으로 운지해야 한다. 그래서 좀 헷갈리고 왼손 약지를 써야 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좀 어눌하다. 이 곡은 그것을 연습하게 하는 곡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6joliBV64eg

제주라이프/플룻 배우기 2020. 8. 30. 08:40
플룻 연주 - 오, 수재너

이 노래는 너무 유명하다. 내 기억에는 학교 다닐 때, 피리 실기를 이 곡으로 했던 기억이 있다. 사실 요즘 내가 부는 플룻 소리도 피리 소리에서 크게 발전한 것 같지는 않지만... 그래도 플룻으로 이 곡을 부니 옛날 생각이 좀 난다. 그동안 짧은 곡들만 연주를 했었는데, 이 곡은 그래도 꽤 길어서 뒤로 갈수록 숨이 좀 딸린다. 우리 플룻 선생님이 말씀하시길. 플룻을 정말 잘 연주하는 사람은 연주자의 호흡 상태가 듣는 사람에게 들키지 말아야 한다... 고 하셨는데, 나는 힘들면 이렇게 숨이 껄떡거리는 것이 확 티가 난다.ㅋ 그래서 폐활량이 좋아야 하나? 복식 호흡도 자연스럽게 할 줄 알아야 한다는데... 플룻을 배우고 난 알았다. 내가 전혀 복식 호흡을 할 줄 모른다는 것을.. 그래서 한참 플룻을 불다보..

제주라이프/플룻 배우기 2020. 8. 23. 23:30
플룻 연주 - 목사님

이 곡은 겨우 한 줄밖에 되지 않는 곡인데, 정말 어렵게 연습한 곡이다. 우선 지난 번에 연습한 슬러(이름줄)이 여러 음에 걸쳐서 되어 있어서 어렵고. 다음으로 어려운 것은 음이 갑자기 높아지는 부분이 있어서 어렵다. 이번에 녹음할 때도 높은 음으로 올라갈 때, 흔히 말하는 삑사리가 났다. 그런데 이게 어쩌다 한번 나는 것이 아니라 음이 여러 단계를 오르락 내리락하면 플룻 초보들은 흔히 생기는 삑사리이다. 이런 현상이 어떤 경우에도 나지 않아야 좋은 플룻 연주자가 되는 것이라는데... 선생님의 가르침에 의하면 아무리 음이 올라가든 내려가든 입술의 모양을 고정하고 바람을 일정한 방향으로 플룻 안에 불어넣고, 목을 열고, 입술을 오므리고, 플룻은 턱에 밀착하고, 고개는 들고.... 정말 지켜야 할 것이 많다..

제주라이프/플룻 배우기 2020. 8. 23. 23:26
독일민요 - 꼬마벌

멜로디는 매우 익숙한데, 노래 가사는 기억이 나지 않는 곡이다. 아마도 우리 세대에는 배우지 않은 동요이지 싶다. 플룻을 배우면서 알게 된 것은 우리는 어릴 때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외국 곡을 많이 접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순수 동요는 그다지 많지 않은 것일까? 어쨌든 간단히 흥얼거렸던 어릴 때 배운 동요들이 출처가 외국인 경우가 많다는 것을 플룻을 배우고야 알게 되었다.ㅋ 이 '꼬마벌'이라는 곡은 높은 음으로 시작하는 것 때문에 연습할 때 고생을 좀 했다. 특히 높은 음이 억지로 끌어올리는 느낌이 나지 않게 불어야 잘 부는 것인데, 아직 나는 높은 음을 불때 안간힘을 쓰는 것이 느껴진다. https://youtu.be/csU5O_9k5CM

제주라이프/플룻 배우기 2020. 8. 16. 13:41
독일 왈츠

이번에 연주한 독일 왈츠는 익숙한 곡이다. 악보는 겨우 두줄밖에 되지 않지만, 우리에게 익숙한 곡을 연주할 때는 특히 재미가 있다. 이렇게 한줄 두줄의 연주곡을 연습하다 보면 나중에는 긴 연주곡도 연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곡은 슬러라고 하는 이음줄을 연습하면서 배운 것이다. 아직은 음의 길이가 길어지는 이음줄이지만, 이렇게 이음줄을 배우면 다른 음들을 자연스럽게 연주할 수 있게 된다. 짧지만 아름다운 곡이다.^^ https://youtu.be/wTT09XAX-OA

제주라이프/플룻 배우기 2020. 8. 16. 13:36
동요 - 나비야

플룻을 배우고 나서, 이렇게 동요를 다 다시 접하게 되었다. 하지만 전처럼 그냥 노래만 불러보는 정도가 아니고 각각의 음을 하나하나 되새기며 동요를 다시 만나게 되는 것이라 좀 새로운 맛이 있다. 특히 우리가 정말 기억도 없는 아기였을 때 배운 '나비야'라는 노래는 '독일 민요'였다는 것이 새로웠다. 그리고 이 동요는 악보도 꽤 길어서 긴 호흡으로 뭔가 노래를 부는 것 같아서 더 좋았다. 아주 쉬운 동요지만, 플룻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틀리지 않고 녹음을 하는 건 정말로 오래 걸린다. 언제쯤 눈을 지그시 감고 악보도 안 보고 감정을 담아 플룻을 연주하게 될지...ㅋ https://www.youtube.com/watch?v=csU5O_9k5CM

제주라이프/플룻 배우기 2020. 8. 9. 21:30
아마도 찬송가인 듯하다 - 하느님의 집

제목을 보니 찬송가인 듯하다. 이 노래의 경우는 내가 모르는 노래인데, 악보만 보고 연주한 것이다. 악기를 잘 다루게 되면 이렇게 모르는 노래의 악보를 보고 그 노래를 불러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나는 노래를 매우 못하는 음치, 박치인지라 이렇게 모르는 곡을 연주하니 더 기분이 좋았다. 연주 후 자꾸 들으니 아는 노래인 것 같은 느낌도 든다.ㅋ https://www.youtube.com/watch?v=mzjQaCaFvys

제주라이프/플룻 배우기 2020. 8. 2. 10:39
플룻소리 - 동요 자전거

플룻을 접하고 처음 배운 동요, 자전거이다. 처음 이것을 배울 때는 이렇게 간단한 것도 며칠씩 연습하곤 했었다. 겨우 한줄 짜리 악보에 4개의 음으로 부는 건데도 그렇게 어려웠는지...ㅋ 그래도 지금은 약간 피리 소리같이 난다. 그당시에는 거의 침뱉는 것 같은 소리만 났었는데...ㅋ 아직 진정한 플룻 소리가 나기에는 멀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5cYw5LpzRk

제주라이프/플룻 배우기 2020. 7. 26. 20:55
플룻의 운지를 이제 모두 다 배웠다.

아마도 내가 플룻을 배우기 시작한지 1년이 된 듯하다. 중간에 코로나19 때문에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느라고 한달간 수업을 하지 않은 것을 생각하면 조금 모자란 1년일 듯하기도 하고... 어쨌든 딱 1년만 배워보자고 시작한 플룻이 이제 1년이 된 것이다. 그당시만 해도 1년만 배우면 뭐 대충 취미로 부는 플룻 실력은 되리라 생각했다. 현재 대부분의 악보를 보면 다 불 수는 있으니, 그 당시 생각했던 실력까지는 된 듯하다. 플룻은 3옥타브까지 소리를 낼 수 있다. 저음 한 옥타브와 중간음 한 옥타브 그리고 고음 한 옥타브이다. 어제 그 마지막인 고음의 마지막 '도'까지 다 배웠다. 운지만 배운다고 다 되는 것은 아니고 그 음에 맞는 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하는데, 아주 낮은 저음과 아주 높은 고음을 내..

제주라이프/플룻 배우기 2020. 6. 28. 09:50
이전 1 2 3 4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사과나무
TAG
  • 한식조리기능사
  • 코바늘뜨기
  • 제주여행
  • 제주도맛집
  • 마라톤
  • 길고양이
  • 중국어공부
  • 중국어번역
  • 산티아고여행
  • 인도영화
  • 한식조리기능사실기
  • 브롬톤자전거
  • 부엔카미노
  • 산티아고
  • 제주맛집
  • 스테픈
  • 달리기
  • 내가슴을뛰게할런
  • 책리뷰
  • 부엔까미노
  • 브롬톤
  • 산티아고순례길
  • 제주도
  • 제주향토음식
  • 자전거여행
  • 플룻배우기
  • 플룻초보
  • 중국동화
  • 북리뷰
  • 솔라나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