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제주 전통 가옥의 구조는 육지의 가옥 구조와 다르게 생긴 데가 많다.
우리가 제주에 이사와서 집을 구할 때 첫번째 조건이 아파트가 아닌 제주의 전통 가옥이었으면 좋겠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제주도에 불어닥친 개발 바람으로 여기저기에 새로운 길과 건물이 들어서면서 제주에서 전통 가옥을 구하는 것은 하늘에 별따기처럼 어려웠다.
이렇게 옛날 집을 구하는 것이 어려운 사정은 육지의 시골에 가도 마찬가지이다.
딱이 집이 없어서 그런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옛날에 할머니할아버지나 부모님이 살았던 집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시골에 빈집이 많아도 시골집을 구하기 어려운 것과 비슷하다.
특히나 제주도의 경우에는 육지 사람들이 이주해 와서 제주 전통 가옥을 구입해 리모텔링해서 카페를 차리거나 게스트하우스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미 팔고자 내놓은 집은 다 팔리고 없기 때문에 살림집으로 전통가옥을 구하기는 더 어려운 실정이다.

다행히 우리는 구제주에 전통가옥을 리모델링하여 팔려는 집을 운좋게 구할 수 있었다.
그 당시에는 가격도 따지지 않고 일단 구입했을 정도로 운좋게 좋은 집을 구했다.
집 앞으로는 차가 다니지 못할 정도로 좁은 골목이 있어서 조용하고 아주 좋은 살림집이다.
나중에 우리집을 구하게 된 사연은 다시 포스팅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여기서는 우리가 이 집을 구한 것 때문에 그나마 제주 가옥에 대해서 좀더 알 수 있었던 부분만 소개해 볼까 한다.

제주도 집은 섬이라는 지형조건 때문인지 전체적으로 집이 낮다.
그리고 바람을 잘 이겨낼 수 있게 제주도 현무암으로 쌓아 놓은 돌담이 있다.
보통 집이 아무리 작아도 제주도 집은 안거리 밖거리라고 해서 집이 두채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흔히 안거리가 본채이고 밖거리가 별채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렇게 분리 되어 있는 안거리와 밖거리는 독립 세대가 생활할 수 있게 기본적인 것들은 모두 갖추어져 있다.
예를 들어 아무리 작은 밖거리라 하더라도 방과 거실 그리고 부엌과 화장실까지 모두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처음에 이런 구조가 신기하다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조금 슬픈 사연을 가진 가옥 구조이다.
밖거리는 자식이 결혼을 하고 나면 늙은 부모가 가서 사는 공간이라고 한다.
제주도 사람들은 언제나 가난을 안고 살았기 때문에 자식과 부모의 경제 생활도 완전히 독립적이라고 한다.
안거리에 살고 있는 자식들 가족과 밖거리에 살고 있는 부모는 각자 다른 살림을 살듯이 밥도 따로 먹는다고 한다.
그 이유는 가난한 살림에 자식이 결혼해서 그의 자식까지 낳아 가족을 이루고 살면서 부모까지 부양하는 어려움을 겪지 말라는 의도가 있다고 한다.
상식적으로 자식이 밖거리에 살아야 할 거 같지만, 자식도 낳았고 더 경제적으로 활발하게 생활하는 자식이 더큰 집인 안거리에서 생활하는 것이 전통이라고 한다.
늙은 부모에 대한 학대나 불효라는 관점으로 접근할 수 없는 가난한 생활 속에서 생겨난 나름 합리적인 삶의 형태라고 한다.
우리집도 아주 작은 집이지만, 그 안에 안거리와 밖거리가 다 있는 걸 보면 확실한 전통적인 가옥 구조인 듯하다.

그리고 우리집에는 뒷마당 쪽으로 샤워장 같은 것이 하나 있다.
거기에는 사워시설과 화장실이 다 갖추어져 있다.
처음에 우리는 우리집이 과거에 민박을 했던 집일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그래서 공동 샤워장처럼 그런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이것도 제주도 전통가옥에 있는 구조물이라고 한다.
여러가지 큰 제사나 잔치 등을 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물부엌'이라고 하는 건물이란다.
물을 바닥에 막 버릴 수 있는 시설이 갖추어져 있어서 이렇게 부른다고 한다.

이런 이유로 우리집은 우리 둘이 살고 있는 작은 집이지만 화장실이 세개나 있는 그런 재미있는 집이다.

이렇게 생긴 전체 구조에 마당이 딸려 있고 안거리 안쪽으로 들어가 밖거리를 가는 길이나 밖거리 안쪽으로 꼭꼭 숨어 '우영팟'이라는 텃밭이 있는 것이 일반적인 구조라고 한다.
제주도에서는 화장실을 '통시'라고 부른다고 한다.
아마도 우리가 옛날에 말하던 식대로 하면 '변소간' 같은 것을 말하는 듯하다.
바깥에 있는 통시로 가는 길에 보통 우영팟이 있어서 통시에서 나오는 것(?)으로 우영팟에 거름을 주기도 했다고 한다.
그리고 각자 집에 있는 이 우영팟은 오늘날로 치면 냉장고 신선칸 정도의 역할을 하는 곳이었다고 한다.
제주도는 사시사철 날씨가 좋아서 우영팟에서는 언제나 그날그날 상에 올릴 수 있는 야채가 나왔기 때문이다.
우리집은 구제주에 위치한 집으로 나름 과거에 복잡한 도심이었어서 '우영팟'까지는 있지 않다.
하지만 담장 아래쪽으로 작은 화단이 있는 걸 보면 이 화단이 우영팟 역할을 했을 것 같아 보이기는 하다.
아무튼 이 우영팟은 가족들의 식자재를 책임지고 있는 곳으로 집안에 꼭꼭 숨어 있었다고 한다.
제주도 말에서 '올레'란 가옥들 사이사이에 있는 겨우 사람만 다니는 작을 골목길로 마당과 연결되어 있는 길을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집들 사이에 있는 올레에서도 우영팟은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족의 먹거리를 책임지는 곳간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아마도 제주의 '올레길'도 골목길인 올레에서 따온 것으로 걸으며 마을 구석구석을 구경할 수 있는 길이라는 의미를 담았을 듯하다.

이렇게 각자의 집에 우영팟을 가지고 있어서 제주사람들의 밥상이 갖는 특징이 있다.
바로 언제나 우영팟에서 난 채소를 생으로 쌈을 싸먹는다는 것이다.
생채소를 제주의 전통 된장인 푸른콩 된장이나 제주에서 많이 나는 젓갈에 매끼 한 소쿠리씩 먹었다고 한다.
그리고 제주는 사시사철 언제나 우영팟에서 채소가 나기 때문에 육지처럼 말린 채소를 먹는 문화가 거의 없다고 한다.
육지에서는 장마철이 지나고 나면 대부분의 채소가 없기 때문에 채소가 많이 날 때 수확해서 볕좋을 때 말려 겨우내 말린 채소를 기름에 볶아서 먹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정월 대보름이 되면 이렇게 말린 채소를을 들기름에 볶아서 열한가지 나물을 해먹는 풍습이 있을 정도이다.
하지만 제주도 사람들은 언제나 생채소를 장에 찍어서 생으로 섭취했다고 한다.
그런 이유로 제주 식단은 비타민이 풍부한 식단이 되었다고도 한다.
강사님 말씀에 따르면 제주도가 따뜻한 남쪽 섬이기도 하지만, 제주 사람들이 언제나 비타민을 풍부히 섭취하고 살았어서 과거 갈중이라고 하는 광목에 감물을 들인 천으로 만든 옷 하나만 입고도 겨울을 나면서 감기도 잘 걸리지 않았다고 한다.

이번에는 우영팟에서 공수된 채소로 제주 밥상을 차려볼 생각이다.

보통 제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옥 구조인데, 이렇게 앞에 보이는 것이 안거리이고, 뒤로 조금 보이거나 아예 보이지 않는 곳에 있는 독립된 건물이 밖거리이다.
그 안에는 아마도 우영팟도 숨어 있을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