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개봉 때부터 워낙 유명했던 영화인데, 그닥 공감대가 없어서 미루다 이제야 봤다.

82년생 김지영(정유미 역)은 어린 시절부터 집안에서도 아들에게 밀리는 설움받는 딸이었다.
특히나 친할머니가 그랬고, 아빠가 그랬다.
그래도 엄마의 따뜻한 정 때문에 잘 자라서 대학 졸업 후 직장생활도 한다.
결혼 후, 출산을 하면서 직장을 그만두고 육아에 전념하고 있는데, 그녀는 가끔 이렇게 멍하니 지내는 시간이 생긴다.

아내가 심약한 스타일이라, 산후 우울증과 함께 가끔 다른 사람이 빙의되어 이상한 소리를 한다.
본인은 아무것도 기억을 못하지만 남편(공유 역)은 이런 지영이 자신에게 시집와서 고생하느라 이렇게 됐다고 자책한다.

특히 친정엄마가 딸의 이런 상태를 알고는 가슴이 무너지게 우는 장면에서는 뭉클했다.

정신과 치료는 병원에 오기까지가 어렵지만, 병원 문턱을 넘어서면 치료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한다.
지영은 용기 내어 병원의 문턱을 넘는다.


나는 천성적으로 긍정적인 사람이라는 이런 류의 영화에는 잘 공감하지 못한다.
그래도 영화 내내 우리 사회에서 힘들게 지내는 여성의 위상에 대해서 잘 다루고 있어서 괜찮은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 내내는 우울했지만, 그래도 다행히 마지막에 해피엔딩이어서 우울한 영화를 본 것치고는 개운한 느낌이 들었다.

많은 아기 엄마들이 이 영화를 보고 공감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대부분의 사람은 영화에서 나오는 다른 엄마들처럼 정신승리로 현실을 이겨내고 있을 것이다.
수학을 전공한 엄마가 아들의 구구단을 가르치고, 연극영화를 전공한 엄마가 아이에게 동화구현을 해주며, 이러려고 죽어라 공부했나보다고 하며 한바탕 웃는 장면이 아마도 우리 현실의 엄마들일 거란 생각이 들었다.

그들이 집안 살림에, 육아에, 남편 뒷바라지에 밀린 자신의 꿈과 인생을 찾는 그런 사회가 되길 희망하는 영화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