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역채 메역은 미역의 제주어이다. 메역채에서 '채'는 채나물이란 뜻이 아니고 그냥 반찬이란 뜻이란다. 그래서 메역채란 미역반찬을 말하는 것이다. 우리는 흔히 미역을 초무침으로 해 먹는데, 제주도 사람들은 그냥 미역을 나물 무치듯이 무쳐서 먹는다. 식초를 약간 넣기도 하는데 그건 그냥 미역의 식감을 꼬들거리게 해주기 위해서이다. 식초를 조금 넣으면 설탕도 함께 조금 넣어주어야 더 맛이 좋다.재료 : 생미역 200g, 청장 2작은술, 다진파 10g, 다진마늘 1작은술, 소금 약간, 참기름 약간, 깨소금 약간일. 생미역을 씻어서 살짝 데친 후 찬물로 바로 헹군다. 제주도 미역은 육지 미역보다 훨씬 부드럽다. 그래서 육지 미역은 마른 미역을 주로 먹는데, 제주도 미역은 생미역으로 먹어야 더 맛있다고 한다.생미역..
제주산책/제주음식스토리텔링
2019. 2. 27. 11:36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마라톤
- 산티아고
- 산티아고여행
- 플룻배우기
- 코바늘뜨기
- 브롬톤자전거
- 달리기
- 한식조리기능사
- 제주도맛집
- 인도영화
- 책리뷰
- 제주도
- 중국어번역
- 솔라나
- 산티아고순례길
- 한식조리기능사실기
- 부엔카미노
- 플룻초보
- 스테픈
- 브롬톤
- 자전거여행
- 제주맛집
- 부엔까미노
- 제주향토음식
- 제주여행
- 중국어공부
- 북리뷰
- 내가슴을뛰게할런
- 길고양이
- 중국동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